본문 바로가기

리눅스/PXA255

Host PC와 실습 PXA255연결


기본적으로 필요한 시냅틱패키지 다운로드

 

tftp, tftpd, xinetd

minicom

libreadline5-dev

lrzsz, vim

gftp, ncftp(필요시)

 

 

 Jtag 설치

압축 파일을 다운받아서 압축을 풀어준후

설치

#./configure --with-include (include경로) --prefix (설치할 곳)

#make

#make install

생성된 파일을 /usr/bin 에 카피 한다. (PATH에 지정된곳에 실행파일을 복사)

 

Jtag 설치후

tftpboot 디렉토리를 생성한다

디렉토리에 포팅할 이미지를 넣어놓고 생성한 tftpboot디렉토리에서 jtag를 실행한다.

실행후 보드와 호스트를 연결

#cable parallel 0x378 PXA255

#detect

#detectflash

이상이 없다면 부트로더를 포팅한다

#flashmem 0 u-boot(filename)

포팅이 제대로 되었다면 minicom을 실행하고 Kit 전원을 켜면

pro3 # 보드콘솔이 보인다.

 

 

 

 TFTP, 네트워크 설정

/etc/xinetd.d/ 디렉토리안에 tftp파일을 작성또는 수정한다.

 

service tftp

{

disable = no

socket_type = dgram

protocol = udp

wait = yes

user = root

server = /usr/sbin/in.tftpd

server_args = -s /tftpboot

per_source = 11

cps = 100 2

flags = IPv4

}

 

 

 Toolchain 설치

받은 파일 압축을 해제한후 arm 디렉토리를 Host PC 의 /usr/local/ 디렉토리로 복사

vim /root/.bashrc

복사한 툴체인의 PATH를 추가한다.

#add Toolchain

export PATH=/usr/local/arm/~   ~/bin:$PATH

 

#source /root/.bashrc (바뀐것을 적용시켜준다)

 

 

 

 

 - Network  설정 -

연결을 새로 만들어 IPv4텝에서 IP, 넷마스크, 게이트웨이를 입력하고 저장한다.

 

 

 - minicom 설정 -

#minicom -s

/dev/ttyS0 (USB포트 사용일 경우는 /dev/ttyUSB0)

하드웨어 플로우 컨트롤 NO

'리눅스 > PXA25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교차개발 환경 시스템구성 및 필요성  (0) 2011.07.06